영화 ‘두 번째 사랑’은 여러가지로 낯설다. 백인 여자와 한국인 남자가 멜로영화의 주인공이라는 것, 흔히 ‘씨받이’라 불리는 대리모가 아니라 ‘대리부’라는 설정이 등장하는 것, 동양인도 아닌 푸른 눈에 금발을 한 여인의 사고방식이 구시대적이라는 것.
낯선 풍경, 익숙한 감정
특히 마틴 스콜세지 감독에게 숙원의 아카데미 트로피를 안겨준 영화 ‘디파티드’에서 맷 데이먼과 리어나도 디카프리오의 사랑을 한몸에 받은 베라 파미가가 한국이 공동제작한 미국 독립영화에 여주인공으로 출연한 것이 더욱 그렇다. 그런데 묘한 건 그런 생경한 풍경들이 익숙한 감정으로 다가온다는 점이다. 결국 사랑이라는 건 인종과 계급과 공간을 넘어서는 본질적인 감정이라는 것인가.
영화는 ‘소피의 선택’을 따라간다. 첫사랑이자 성공한 한국계 미국인 변호사 앤드류(데이빗 맥기니스 분)를 남편으로 둔 소피(베라 파미가 분). 결혼으로 완성시킨 완벽한 첫사랑이 언젠가부터 뿌리채 흔들린다. 아이가 없어서라고 판단한 소피는 인공수정에 매달리지만 건강하지 못한 앤드류의 정자로는 허사다.
300달러의 유혹, 그리고 사랑은 시작되었다
타인의 정자라도 시술해달라는 소피의 요청에 의사는 불법이라는 답을 돌려주고.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을 만큼 절박한 소피 앞에 남편과 흡사한 외모의 남자가 나타난다. 남자는 한국인 불법체류자 지하(하정우 분). 지하는 한국에 있는 여자친구를 데려오기 위해 세탁소 정육점 허드렛일부터 짐 운반, 시계 판매 등 닥치는대로 일하며 돈벌기에 급급하다. 그날도 정자 기증으로 돈 좀 벌어보려다 소피의 눈에 띄었다. '300달러의 유혹’. 불법체류자라는 이유로 1번에 50달러를 벌 수 있는 돈벌이를 거절당한 지하에게 소피는 ‘1번에 300달러, 임신하면 3만달러’라는 제안을 한다. 여자는 첫사랑을 지키기 위해, 남자는 애인과 함께 살기 위해 은밀한 거래를 시작하는데….
소통의 욕구, 그 탈출구 ‘사랑’
첫사랑을 위한 몸부림의 순간에 아이러니하게도 ‘두 번째 사랑’이 찾아온다. 그저 몸섞임이 가져온 열정일까. 영화는 두 사람의 사랑에 두 가지 정도의 이유를 내민다. 하나는 소통의 욕구이다. 미국 사회 주류인 백인 소피가 한국계 집안의 며느리가 되어 겪는 소통의 단절은 알아들을 수 없는 한국말 기도로 표현된다. 기도하는 방법도 모르는 그녀인데, 소피의 잉태 축원 기도는 한국말로 진행된다. 아예 미국 주류사회에 낄 수 조차 없는 지하의 소통의 부재, 소외는 두말 할 나위 없다. 소통을 원하는 두 사람에게 사랑은 가장 좋은 소통 수단이다. 인간 사회의 소통에 대한 관심을 영화로 표현해온 김진아 감독의 화두가 이번 작품에서도 표면에 배치돼 있다.
‘소피의 선택’…나를 사랑하라
다른 하나는 소피의 자아발견이다. 자신의 감정보다는 상대의 기분을 먼저 배려하는 소피, 그리고 그런 그녀의 특성을 좋아하고 향유하는 남편. 자상한 듯 보이지만 일방적인 남편의 특성은 장례식에 다녀온 뒤 막무가내로 식탁 위에 소피를 눕히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지하는 그런 소피에게 자신의 감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우고, 남편이 건성 가르쳐준 기도법을 정성스레 일러준다. 돈을 매개로 한 목적성 관계지만, 지하는 소피의 상태를 배려하는 따뜻함을 보인다. 두 사람의 소통 욕구가 수면 위에 있다면, 소피의 자아발견을 수면 아래서 영화를 받치고 있다.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 등을 통해 여성의 정체성에 대해 얘기해온 김 감독의 여성주의적 시선은 마지막 장면에서도 확인된다. 장소가 어디이고 소피의 현재 상황이 어떤 것인 충분히 짐작되지만 ‘남편’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또다른 남자의 보호 아래서 누리는 행복이 아니라 ‘소피의 선택’인 것이다.
김진아 감독의 서정적 영상 돋보여
‘씨받이’와 대치되는 개념인 ‘씨내림’, 그것도 미국 뉴욕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대리부의 이야기가 신선하지만, 어찌보면 영화의 스토리는 뻔하다. 김진아 감독 스스로도 “1950년대 멜로를 비틀어 쓴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런데 그 뻔한 얘기가 통속적으로 느껴지지 않고 ‘사랑이 영원하다(원제: never foever)고 믿냐’ 는 자못 진지한 물음으로 다가서는 건 김 감독의 안정적인 연출 덕이다.
군더더기 없는 편집, 자주빛 안개가 낀듯 우수어린 영상과 피아노를 베이스로 한 서정적 음악이 눈과 귀를 감싼다. 무엇보다 영상 자체에서 감정이 묻어나는 게 압권이다. 공동제작을 맡은 이창동 감독도 “생산공장처럼 정신없이 돌아가는 미국 독립영화 시스템에서 제 호흡을 잃어버리지 않고 이 정도의 집중력있는 영상을 얻어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고 극찬했다.
베라-정우의 신뢰감 있는 ‘호흡’ 빛나
또 하나, 베라 파미가와 하정우의 밀도있는 연기가 관객들을 소피와 지하의 내면으로 끌어들인다. 스크린 위의 남의 얘기가 아니라 내 얘기처럼 다가서게 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두 배우는 흡인력 있는 연기로 스토리에 강력한 힘을 부여했다. 베라 파미가가 선댄스영화제 공식석상에서 “지금까지 공연한 배우 중 가장 멋진 건 리어나도 디카프리오, 맷 데이먼도 아니고 쥬드 로도 아니고 하정우”라고 말했다. 하정우는 “배우로서는 말할 것도 없고 헐리우드 유명 스타답지 않게 소박하고 따뜻한 사람이라는 첫인상을 받았는데 작품이 끝나도록 한결 같았다”고 칭찬했다.